영어 기초문법 완전 정복! 의문문 & 간접화법 쉽게 배우기

이미지
  영어를 처음 배우거나 다시 기초를 다지고 싶은 분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법은 바로 **‘의문문’과 ‘간접화법’**입니다. 특히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장 구조이기 때문에, 확실히 이해하고 반복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죠. 오늘 이 글에서는 **기초문법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의문문’과 ‘간접화법’**에 대해 예제와 함께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예문은 모두 5개씩 ,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난이도 로 구성했습니다. 📘 Part 1: 의문문 (Questions) 영어의 의문문(Questions) 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유형별로 어떤 식으로 문장이 만들어지는지 함께 예문을 살펴보겠습니다. ✅ 의문문 1: 조동사/동사를 앞에 두는 Yes/No 질문 예: Is it raining now? (지금 비 오고 있나요?) Have you eaten lunch? (점심 먹었어요?) Do they live nearby? (그들은 근처에 살아요?) Can you help me? (도와줄 수 있어요?) Are we late? (우리 늦었나요?) 이런 유형은 주로 예/아니오(Yes/No) 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에 사용됩니다. ✅ 의문문 2: 의문사 + 일반 동사/과거형 예: Who saw you at the party? (누가 파티에서 너를 봤니?) Who did you see at the park? (공원에서 누구를 봤니?) What did she say? (그녀가 뭐라고 했니?) When did he arrive? (그는 언제 도착했나요?) Why did they leave early? (왜 그들은 일찍 떠났나요?) 이 문형은 '의문사(who, what, when, why)' + 일반동사 로 구성되어 구체적인 정보 를 묻습니다. ✅ 의문문 3: 현재진행/상태 묻기 예: Who is she talking to? (그...

기초문법 완벽 정리: there와 it, 그리고 조동사 활용법

이미지
  영어를 배우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기초문법 입니다. 기초가 탄탄해야 회화, 독해, 작문 모두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영어 실력이 한층 성장하게 됩니다. 특히, there와 it의 차이 그리고 조동사(do, be, have) 활용 은 초급에서 중급으로 넘어가는 데 꼭 필요한 핵심 포인트입니다. 많은 학습자들이 there와 it의 쓰임을 혼동하거나, 조동사 문장을 만들 때 어색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부분을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고, 예문을 통해 감각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기초문법의 핵심을 이해하고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1. There와 It 1) there is / there are 의미: ~이 있다, ~가 있다 (존재를 나타낼 때 사용)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책상이 위에 책이 있다.) There are two cats in the garden. (정원에 고양이 두 마리가 있다.) There is a problem with your computer. (네 컴퓨터에 문제가 있다.) There are many people waiting outside. (밖에서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다.) 2) there was / there were / there has(have) been / there will be 의미: 과거, 현재완료, 미래의 존재를 나타낼 때 There was a big storm last night. (어젯밤 큰 폭풍이 있었다.) There were no buses after 10 p.m. (밤 10시 이후 버스가 없었다.) There has been a misunderstanding. (오해가 있었다.) There will be a meeting tomorrow. (내일 회의가 있을 것이다.) 3) It … 의미: 날씨, 시간, 거리...

조동사와 명령문 쉽게 정복하기!

이미지
  영어 문법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 이제는 어렵지 않아요 조동사와 명령문이 뭐길래 이렇게 자주 나올까? 영어 문장에서 조동사(modal verbs)는 주어의 가능성, 의무, 제안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그리고 명령문은 누군가에게 지시하거나 제안을 할 때 꼭 필요한 문장 형태죠. 학생, 직장인, 여행자 모두에게 유용한 문법 표현이기에 오늘은 조동사와 명령문을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예문도 4개씩 넣어드리니, 바로 회화에 써먹어 보세요! might – ~일지도 몰라요 (가능성 낮음) 설명: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을 때 사용해요. 예문: It might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지도 몰라요.) She might be at home now. (그녀는 지금 집에 있을지도 몰라요.) I might go to the party. (파티에 갈지도 몰라요.) He might not know the answer. (그는 답을 모를 수도 있어요.) can / could – 할 수 있다 / 할 수 있었다 (능력, 가능성) 설명: ▪ can 은 현재나 일반적인 능력을 말할 때 ▪ could 는 과거나 정중한 표현으로 사용돼요. 예문: I can swim. (나는 수영할 수 있어요.) She can speak three languages. (그녀는 3개 언어를 할 수 있어요.) He could run fast when he was young. (그는 어릴 때 빨리 달릴 수 있었어요.) Could you help me? (도와주실 수 있나요?) must – 반드시 해야 해요 (강한 의무, 추측) 설명: 의무감이 크거나, 누군가 강하게 요구할 때 사용해요. 예문: You must wear a seatbelt. (안전벨트를 꼭 매야 해요.) I must finish my homework. (숙제를 반드시 끝내...

미래를 표현하는 4가지 영어 문법 완전 정복

이미지
  What are you doing tomorrow? / I’m going to / will 1 / will 2 미래를 표현하는 문법, 왜 중요한가요? 영어를 배우면서 많은 학습자들이 현재 시제와 과거 시제는 금방 익히지만, ‘미래 시제’를 표현할 때에는 종종 헷갈려합니다. “내일 뭐 할 거야?”처럼 단순한 질문조차도 영어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계획을 말할 때와 갑작스럽게 결심할 때의 문장은 다르게 표현되어야 하며, 이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영어 사용의 핵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어에서 미래를 표현하는 네 가지 방법— ① 현재진행형을 사용한 표현, ② be going to, ③ will의 예측용법, ④ will의 즉흥결정용법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각각의 문법 포인트마다 실용적인 예문 4개씩을 통해 감각적으로 익혀 보겠습니다. 1. What are you doing tomorrow?   (현재진행형으로 미래 표현하기) 현재진행형은 단순히 지금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이미 정해진 미래의 일정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주로 공식적인 계획이나 이미 결정된 약속에 쓰입니다. 예문 I’m meeting Sarah at 3 p.m. tomorrow. We’re flying to Bangkok next weekend. He’s having lunch with the client on Friday. They’re attending a concert tonight. 2. I’m going to …   (계획된 미래 또는 의도 표현) ‘be going to’는 이미 마음을 정하고 계획한 미래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합니다. 특히 주관적인 의지나 계획이 명확히 드러날 때 유용하죠. 예문 I’m going to study English after dinner. She’s going to start her new job next ...

영어 문법 쉽게 배우기! 수동태와 동사 형태 완전 정복

이미지
  "영어 문법, 어렵지 않아요!" 영어 공부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것이 바로 문법 입니다. 단어를 많이 알고 있어도 문법이 부족하면 영어로 말하거나 글을 쓸 때 막히는 경우가 많죠. 특히 수동태 (Passive Voice)나 동사의 형태 변화 는 헷갈리는 부분이 많아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is done? was done? has been done? " 이런 표현들,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히 무슨 뜻인지 헷갈리신 적 있으시죠?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이 꼭 알아야 할 영어 문법 중에서 수동태 와 동사의 형태 에 대해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특히 영어 초보자, 중학생, 또는 영어 문법을 다시 정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한 단어씩, 한 문장씩 차근차근 알아가다 보면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될 거예요. 😊 그럼 지금부터 함께 공부해볼까요? 🧩 수동태(Passive Voice)란? 먼저 수동태가 뭔지 간단히 설명드릴게요! 👉 능동태 vs 수동태 수동태는 ‘~에 의해 ~되다’ 라는 의미 를 가진 문장입니다. 주어가 ‘무엇을 했다’가 아니라, ‘무엇을 당했다 ’ 혹은 ‘무엇이 되어졌다 ’가 중심이 되는 거죠. 📌 수동태 1: 가장 기본적인 수동태 현재 시제 : is done (예: 일이 지금 완료된다) 과거 시제 : was done (예: 일이 과거에 완료되었다) ✅ 예문 The homework is done by the student. → 숙제는 학생에 의해 완료된다. The project was done yesterday. → 프로젝트는 어제 완료되었다. 👉 여기서 is 는 현재 시제를, was 는 과거 시제를 알려주는 동사입니다. 📌 수동태 2: 진행형과 완료형 수동태 조금 더 발전된 수동태 표현도 있어요. 진행형 수동태 : is being done → 지금 하고 있는 중이에요! ...

미국 대학교 편입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이미지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New Haven)에 위치한 Yale University(예일대학교)는 1701년에 설립된 미국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으로, 하버드(Harvard)와 프린스턴(Princeton)과 함께 아이비리그(Ivy League)를 대표하는 명문 사립대학입니다. 2025년 U.S. News & World Report 기준 미국  National Universities 5위에 올랐습니다. 예일대학교는 매년 가을학기에 한해 2년제 또는 4년제 대학에서 일정 학업을 마친 소수의 우수 편입생 을 선발합니다. 🏫 예일대학교 기본 정보 항목 내용 학교명                 Yale University (예일대학교) 위치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New Haven) 설립연도                 1701년 학생 수                 학부생 약 6,740명 / 대학원생 약 8,750명 국제학생 비율                 약 28% 학생 대 교수 비율                 6:1 소규모 수업 비율                 전체 수업의 72.4%가 20명 이하 🎯 예일대학교 편입학 전형 개요 모집 시기 : 매년 가을학기(Fall Semester)만 가능 지원 대상 : 인가된 2년제 또는 4년제 대학에서 최소 2학기(또는 3쿼터) ...

Duke University(듀크대학교) 편입학 가이드

이미지
 Duke University(듀크 대학교)는 1838년에 설립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Durham, NC)에 위치한 명문 사립대학교입니다. 2025년 U.S. News & World Report에서 National Universities 순위 6위를 기록했으며, 높은 학문 수준과 학생 만족도를 자랑합니다. 듀크 대학교는 매년 소수의 우수한 편입학생을 선발하며, 지난 5년간 편입학 합격률은 3%에서 7% 사이였습니다. 매우 경쟁이 치열한 편입니다. 🎓 학교 기본 정보 항목 내용 학교명        Duke University (듀크 대학교) 설립연도        1838년 위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Durham, NC) 학부 재학생 수        약 6,523명 대학원 포함 총 학생 수        약 17,499명 수업 규모        74%가 20명 이하의 소규모 수업 신입생 유지율        98% 인기 전공 TOP5        컴퓨터과학, 경제학, 생물학, 공공정책학, 심리학 🔁 편입학 전형 개요 편입학 가능 학기 : 가을학기(Fall Semester)만 진행 지원 마감일 : 2025년 3월 15일 선발 인원 : 매년 약 50명 내외 ✅ 지원 자격 요건 최근 4년 이내 인정된 대학 에서 1년 이상 수료한 학생 GED 또는 고등학교 졸업장 필수 이미 학사 학위 소지자는 지원 불가 직업·기술·예술학교 학점은 인정되지 않음 📊 편입생 프로필(2023년 기준) 항목         수치 지원자 수   ...